AI스쿨 리팩토링

10주차 - 보안관제

By 풀스택다이버 2025. 6. 23. 14:53

0. 과제 및 과정 소개

10주차 보안관제란.pptx
1.45MB

 

과제 발표에 사용한 PPT파일을 첨부합니다. 이 과제는 AI스쿨 리팩토링 보안 과정의 일부로 2024년 2월 3일에 발표되었으며 보안 기초에 해당하는 보안관제를 다루었습니다. 리팩토링 교육과정에 참여하고자 하신다면 아래 AI스쿨 공식 카페에 방문해 주세요.

 

 https://cafe.naver.com/itscholar

 

정보보안전문가 취업카페 스칼라 : 네이버 카페

비전공자 전문IT교육, 정보보안전문가, 보안을 아는 개발자, AI 양성교육, IT기술리더, 창업가 양성

cafe.naver.com


1. 보안관제란?

정보보안관제, 출처: SK쉴더스 - 정보보안관제

 

보안관제는 기업 또는 조직의 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보안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위협에 대응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해킹, 악성코드, 비인가 접근 등 다양한 사이버 위협을 탐지하고 차단하기 위한 지속적 감시 체계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시스템을 통해 방화벽, IDS, 서버 등에서 생성되는 로그와 이벤트를 수집하고 이상 징후를 분석하여 정탐·오탐 판단 후 경보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운영됩니다.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은 조직의 시스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하는 보안 이벤트 및 로그 데이터를 통합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시간 위협 탐지 및 사고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보안 관리 체계입니다.

1-1. 보안관제 구성요소

보안관제는 네트워크 및 시스템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보안 이벤트를 효과적으로 수집·분석·대응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아래 세 가지 요소는 실질적인 보안관제 시스템의 핵심적인 구조를 이룹니다.

  • 에이전트 (Agent)
    • 에이전트는 서버, 보안 장비, 네트워크 등 개별 시스템에 설치되는 소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입니다.
    • 각 장비에서 생성되는 로그를 수집하고, 사전에 정의된 설정에 따라 중앙 관제 센터로 실시간 전송합니다.
    • 이때 수집되는 정보는 해당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하며, 관제센터의 기초 분석 데이터로 사용됩니다.
  • 정보 수집 서버 (Collector Server)
    • 에이전트가 전송한 로그와 데이터를 받아 분석하고 저장하는 서버입니다.
    • 수집된 정보는 정제 및 분류 과정을 거쳐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며,
      관제 요원이 분석하거나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각종 리포팅 소스로 제공됩니다.
    • 또한 에이전트 상태 확인, 로그 품질 검증 등의 역할도 수행합니다.
  • 통합 관제 시스템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 보안관제의 실질적인 중심으로,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시스템입니다.
    • 관제 요원은 이 시스템을 통해 이벤트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정탐/오탐 여부를 판단하며, 대응 정책을 반영합니다.
    • 분석 결과는 자동 또는 수동 대응으로 연계되며, 저장된 이력은 추후 사고 분석 및 업무 개선에 활용됩니다.

이 세 가지 구성요소는 현장 단말분석관제까지 이어지는 흐름의 핵심 축을 이루며 보안관제 업무의 자동화와 효율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역할을 수행합니다.


1-2. 보안관제의 주요 역할

보안관제, 출처: Aegis Technologies

 

보안관제는 단순히 이벤트를 탐지하고 차단하는 데 그치지 않고 조직 전반의 보안 체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중심 축으로 기능합니다. 다음은 보안관제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역할들입니다.

  1. 보안시스템 통합관리
    • 서로 다른 기종에 대한 Agent를 통해 모든 보안 장비와 네트워크를 중앙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합니다.
    • 침입탐지시스템(IDS), 방화벽, 자원관리 도구 등 다양한 요소를 연동하여 효율적이고 일관된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2. 일관성 정책 구현
    • 중앙 관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책 적용을 통합관리함으로써,
      각 장비마다 따로 설정되는 보안 정책으로 인한 위험 요소를 최소화합니다.
  3. 신속한 대응처리
    • 침해사고에 대한 사전 예방 활동 강화와 더불어,
      24시간 365일 상시 관제를 통해 장애 발생 시 실시간 대응과 피해 확산 방지가 가능합니다.
    • 업무 중단이나 장비 손상에 대한 위협 요소를 실질적으로 줄이는 핵심 수단입니다.
  4. 최적 보안체계 운영
    • 각종 보안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조직 특성에 맞는 맞춤형 보안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장비, 인력, 정책이 통합적으로 작동하며 지속 가능한 보안 관리 체계를 형성하는 기반이 됩니다.

1-3. 보안관제의 수행 원칙

보안관제는 단순한 감시를 넘어, 신속성과 전문성, 그리고 협업 체계를 기반으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원칙이 적용됩니다.

  • 무중단의 원칙
    • 사이버 공격은 시간에 관계없이 발생하므로 보안관제는 365일 24시간 중단 없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합니다.
    • 특히 DDoS 같은 대규모 네트워크 공격은 실시간 탐지와 즉각적인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 이를 위해 교대근무 체계를 갖춘 운영기관과 전문 인력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벤트 발생 시에는 정탐 판단 후 초동 차단 또는 공격 재현 후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전문성의 원칙
    • 보안관제는 전문 인프라와 인력 없이는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없습니다. 보안관제센터, 공격 탐지 시스템, SIEM 솔루션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지식과 분석 기술이 필요하며 탐지 정확도는 담당자의 경험과 노하우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 정보 공유의 원칙
    • 보안 위협은 특정 기관에 국한되지 않고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법령을 위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정보 공유가 중요합니다.
    • 다른 기관의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관계 기관 간에 보안 위협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고 연계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1-4. 보안관제의 유형 및 특징

🏢 온프레미스 기반 관제

4가지 관제 유형, 출처: chatgpt 생성

유형 개념 및 상세 장점 단점
원격 관제 - 관제 인력을 원격으로 제한된 단위의 보안 시스템에 위탁
- 업체는 자체 시스템을 구축해 보안 이벤트를 원격에서 중점적으로 모니터링
- 대상: 일반 기업, 포탈 등
- 비용 절감
- 회선 구축 비용 없음
- 서비스 제한
- 현장 특화 대응 어려움
- 장애 시 즉각 조치 어려움
파견 관제 - 기관이 시스템을 자체 구축하고, 관제 인력을 외부 업체로부터 파견 받아 운영
- 대상: 공공, 금융권 등
- 현장 대응 특화
- 시스템 개선 용이
- 업무 효율성 향상
- 인력 관리 복잡
- 인건비 상승
자체 관제 - 기관이 인력과 시스템을 자체 구축해 운영
- 정규직 또는 계약직 인력으로 구성
- 대상: 국정원, 경찰청, 통신사 등
- 기밀 유지
- 전문 기술 보유
- 신속 사고 대응
- 초기 비용 부담
- 운영 및 인력 양성 어려움
하이브리드 관제 - 원격 + 파견/자체 혼합
- 기업 통합 보안센터에서 정보 수집, 원격 제공
- 파견은 주요 시간대만 운영
- 대상: 금융기관 등
- 유연한 운영 가능
- 정책 수립 용이
- 원격팀과 협업 가능
- 인력 품질 차이
- 파견 관리 이슈

 

☁️ 클라우드 기반 관제

클라우드 기반 관제, 출처: chatgpt 생성

유형 개념 및 상세 장점 단점
클라우드 관제 - 서버, DB 등 클라우드 환경 대상
- CERT 등 전문 인력이 원격 제공
- 대상: AWS 등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 유지보수 불필요
- 최적화된 환경 제공
- 다양한 구축 레퍼런스 활용 가능
- 관제 난이도 높음
- 보안 리스크 증가
- 고객 업무 이해 부족

 


1-5. 보안관제 업무

보안관제는 단순한 경보 확인을 넘어, 사전 예방부터 실시간 탐지, 사후 대응까지 전 단계의 업무를 포괄합니다.

크게 예방, 탐지, 대응의 세 영역으로 나뉘며, 각 단계별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예방 부문
    • 보안 패치: 서버 및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 등에서 발생한 보안 취약점을 파악하고 보안 패치를 통해 제거합니다.
    • 취약점 점검: 보안 시스템 및 네트워크 환경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취약점 진단과 개선 조치를 수행합니다.
    • 정책 관리: IDS, IPS, 방화벽(F/W), 네트워크 장비 등에 보안 정책을 적용하고 유지 관리합니다.
    • 모니터링: 침입 로그, 시스템 로그 등에서 각종 이벤트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 탐지 부문
    • NMS, Alert: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상 징후에 대한 예·경보를 탐지합니다.
    • 시스템 장애 이벤트: 각종 시스템의 장애 발생 시 생성되는 경보를 수신하고 이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 관리적 이벤트: 관리자 변경, 정책 수정, 접근 권한 변경 등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이벤트를 탐지합니다.
  • 대응 부문
    • 웜, 바이러스 대응: 악성코드 감염, 악의적인 웹 트래픽 등을 탐지하고 차단합니다.
    • 스캐닝: 시설 내부의 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하려는 악의적 스캐닝 행위를 식별합니다.
    • 침해 사고: 주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불법 접근 시도를 실시간 탐지 및 분석합니다.
    • 기타 대응: 정상적이지 않은 활동이나 알 수 없는 이벤트에 대해 초기 대응과 조치를 수행합니다.


1-6. 보안관제 프로세스

보안관제 프로세, 출처: 이글루코퍼레이션 - 보안관제 프로세스

 

 

보안관제는 단순한 이벤트 대응을 넘어, 사고 예방부터 사후 복구와 정보 공유까지 전 과정을 포괄하는 연속적인 절차입니다.
실제 운영에서는 아래의 여섯 단계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수행됩니다.

  1. 식별 (Identify)
    • 보호해야 할 정보 자산, 네트워크, 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하고 취약점을 목록화합니다.
    • 식별된 요소에 대해 위험도 평가 및 관제 우선순위 설정을 통해 정책을 수립합니다.
    • 주로 보안 자산 등록, 관리대상 식별, 시스템 구성도 작성 등의 활동이 포함됩니다.
  2. 예방 (Protect)
    • 사전적으로 방화벽, IPS, 접근제어, 보안 정책 등을 적용하여 공격 발생 자체를 막는 단계입니다.
    • 보안 패치 적용, 계정 권한 통제, 취약점 점검 등으로 공격 표면을 최소화합니다.
    • 최신 위협 정보 및 해킹 동향을 반영한 보안 강화 조치도 병행됩니다.
  3. 탐지 (Detect)
    • 침해 시도나 이상 행위를 24시간 실시간으로 탐지하기 위해 로그, 트래픽, 이벤트를 상시 분석합니다.
    • IDS/IPS, SIEM, 보안 로그 분석 도구를 활용해 비정상 행위 또는 알려진 공격 패턴을 식별합니다.
    • 상관분석 및 AI 기반 이상탐지 등 정밀한 탐지 고도화 기술이 활용됩니다.
  4. 대응 (Respond)
    • 탐지된 사건이 실제 위협으로 판단되면, 즉각적인 차단, 격리, 통보 등의 초기 조치를 수행합니다.
    • 관련 부서 또는 외부 전문가와의 공조 체계를 가동하여 상황 전파 및 분석이 이루어지며,
      사고 범위 분석, 임시 대응 방안 수립 등 선 대응-후 보고/분석 구조로 움직입니다.
  5. 복구 (Recover)
    • 피해 시스템을 원상태로 복원하고,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보안 개선 활동을 수행합니다.
    • 백업 복원, 서비스 정상화, 로그 재점검 등을 포함하며,
      장기적으로는 정책 보완과 시스템 구조 개선도 반영됩니다.
  6. 보고 및 공유 (Report & Share)
    • 침해사고 처리 결과, 원인 분석 보고서, 대응 내역 등을 내부 관계자 및 유관 부서와 공유합니다.
    • 국가기관 및 협력사와의 정보 공유 절차를 통해 위협 인텔리전스를 교류하며,
      보고 결과는 이후 예방 및 탐지 단계에 정책 반영의 근거 자료로 활용됩니다.

이처럼 보안관제는 단순 반복이 아닌, 선순환적 대응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의 정합성과 효율성 확보가 전체 보안 수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7. 보안관제의 주요 변화(~2023)

보안 위협은 기술 발전과 함께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제 시스템과 프로세스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최근 수년간 보안관제 환경의 핵심 변화입니다.

  • 위협 증가와 대응 한계
    • 클라우드 성장, 생성형 AI 확산, 사물인터넷(IoT) 확산 등으로 보안 위협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피싱, 랜섬웨어, 내부자 위협, 공급망 공격, DDos, 제로데이, IoT 보안 공격, 클라우드 위협 등이 주요 공격 유형으로 부상했습니다.
      기존 관제 체계로는 대응이 어려운 수준의 위협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오픈소스 보안도구 전환 트렌드
    • WireShark, Snort, OSSEC 등 오픈소스 보안도구의 채택이 증가하고, 보안 장비에서도 오픈소스화가 활발합니다.
    • 이로 인해 빠른 업데이트와 협업이 가능해졌고 검증 속도도 향상되었습니다.
  • 관제 시스템의 진화
    1세대: 단위 보안시스템 → 2세대: SIEM 중심 통합 → 3세대: 인프라 대상 관제 → 최신 4세대: 지능형·자동화 관제로 전환
    • AI 기반 이상 탐지, XDR/NDR/EDR 연동, SOAR 자동화 도구 통합이 핵심 요소입니다.
  • 자동화 및 AI 도입 가속화
    • 최근 SIEM과 XDR 제품이 AI, 머신러닝, 하이퍼 자동화 기능을 강조합니다.
    • Autonomous SOC, AI 코파일럿, agentic AI 등의 개념이 떠오르며 복잡한 알림 처리를 자동화하거나, 분석관 지원 도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클라우드·제조 환경에 대한 관제 확대
    • 조직 인프라가 클라우드 및 OT 환경까지 확장되면서, 기존 SIEM에서 진화한 Cloud-based SOC, XDR, NDR, CEM(Continuous Exposure Management) 같은 체계가 등장했습니다.

1-8. 2024~2025년 최신 트렌드

  • Agentic AI 도구 채택 증가
    • Microsoft, CrowdStrike 등 주요 보안 기업들이 AI가 자동 판단하고 행동까지 수행하는 agentic AI 관제를 도입 중입니다.
  • SIEM과 XDR/SOAR 통합 가속화
    • 시장에서는 SIEM 용어를 넘어 SIEM++, XDR, SOAR와 조합한 플랫폼이 주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 GSOC (Global SOC) 추세 강화
    • 글로벌 수준의 관제 센터 통합 추세가 강화되며, 중앙 집중형으로 공장·지사·클라우드까지 포함한 관제 구조가 부상 중입니다.
  • 협업 기반 관제 체계 확대
    • 공공·민간·기업 간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와 협업이 국가 주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 AI·자동화 기반 생산성 상승 증명
    • 연구 결과(예: Generative AI SOC 실증 논문)에서 탐지부터 대응까지의 평균 시간이 30% 단축된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요약하면, 보안관제는 단순 모니터링을 넘어 AI 기반 탐지, 자동화된 대응, 클라우드/제조 인프라 확장, 협업 생태계 기반으로 빠르게 진화 중이며, 2025년에는 완전 자동화된 agentic AI 관제, 글로벌 SOC 운영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2. 악성코드 분석을 위한 필수 리소스 정리

악성코드 분석은 단순한 파일 검사에서부터 시작하여, 네트워크 행위, 공격 기법, 감염 확산 경로까지 파악하는 복합적인 작업입니다. 이러한 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와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악성코드 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사이트, 도구, 그리고 샘플 확보처를 3가지 범주로 나누어 소개합니다.

2-1. 악성코드 주요 분석 사이트

  • Whois
    • URL: whois.kr
    • 도메인이나 IP 주소의 등록자, 등록일, 만료일, 네임서버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공격의 출처 추적에 활용됩니다.
  • VirusTotal
    • URL: virustotal.com
    • 다양한 백신 엔진을 통해 파일, URL, IP, 도메인 등을 다중 분석하는 서비스입니다.
    • 무료이지만 업로드된 샘플은 공개되므로 민감 정보는 유의해야 합니다.
  • Shodan
    • URL: shodan.io
    • 인터넷 상의 장비(서버, 카메라 등)의 포트 상태, 서비스 버전, 운영체제 등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엔진입니다.
    • 특정 포트를 사용하는 장비나 국가별 탐색도 가능하여 취약한 서버 탐색에 활용됩니다.
  • Exploit Database
    • URL: exploit-db.com
    • 최신 취약점 및 공격 기법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며, zero-day에 준하는 위험도 높은 취약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hub Security Lab
    • URL: securitylab.github.com
    • Github이 운영하는 보안 연구 커뮤니티로, 다양한 취약점 보고 및 분석 도구, PoC 코드 등이 공유됩니다.

2-2. 주요 분석 도구

  • Wireshark
    • 오픈소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분석기이며, 실시간 패킷 모니터링 및 저장, 분석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 크로스 플랫폼 지원 / 패킷 분석용 GUI 제공 / 무차별 모드(promiscuous mode)
  • Snort
    • IDS(침입 탐지 시스템) 기반의 트래픽 분석 도구입니다.
    • 실시간 탐지, 로그 저장, 프로토콜 분석 등 다양한 네트워크 보안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
    • 오픈소스이며 다양한 커뮤니티 룰셋 활용 가능.

2-3. 악성코드 샘플 사이트

  • MalwareBazaar
    • URL: bazaar.abuse.ch
    • 무료로 악성코드 샘플을 횟수 제한 없이 다운로드 가능. 단, 애드웨어, PUP 등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 URLhaus
    • URL: urlhaus.abuse.ch
    • 피싱 URL과 관련된 악성 샘플을 확인할 수 있으며, C&C 서버 등 실전 위협 정보 파악에 유용합니다.
  • VirusShare
    • URL: virushare.com
    • 다양한 유형의 악성코드를 공유하며 통계 정보를 제공합니다.
    • 다만, 가입은 추천 메일을 통한 승인제로 제한적입니다.
  • Hybrid-Analysis
    • URL: hybrid-analysis.com
    • Virustotal과 유사하지만 더 다양한 분석 정보와 정밀 리포트를 제공하며, 사용자 인증 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러한 리소스들은 악성코드 분석을 보다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반입니다. 각 도구와 사이트의 기능을 숙지하고 적재적소에 활용하면 위협 대응 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이하는 글을 작성하기 위해 주로 참고한 자료들입니다.

 

보안관제

https://www.jobindexworld.com/contents/view/7937

 

현업 실무자가 알려주는 '보안관제' 핵심업무 및 프로세스(의미/역할/구성요소/업무유형) | 경력

보안관제는 IT자원 보호를 위해 보안장비를 24시간 365일 모니터링 하여 보안사고의 징후를 탐지하고 즉각 통보하며, 필요 시 초동 대응을 하는 서비스를 말하는데요, 최근 들어 해킹의 위협이 나

www.jobindexworld.com

 

보안관제란 무엇인가요?

 

[보안 101] 보안관제란 무엇인가요?

[보안 101] 더보기 ▶ 매달 하나의 주제를 선정해 질문을 던지며, 보안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갑니다.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보안 지식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 개념

www.igloo.co.kr

 

https://www.ahnlab.com/ko/product/managed-security-service

 

AhnLab

 

www.ahnlab.com

 

2024~2025 트렌드 

https://www.axios.com/2025/03/27/agentic-ai-cybersecurity-microsoft-crowdstrike

 

https://www.investors.com/news/technology/cybersecurity-stocks-outlook-ai-tariffs-global-threats/

 

 

악성코드 분석 도구

https://www.varonis.com/blog/malware-analysis-tools

 

11 Best Malware Analysis Tools and Their Features

An overview of 11 notable malware analysis tools and what they are used for, including PeStudio, Process Hacker, ProcMon, ProcDot, Autoruns, and others.

www.varonis.com

 

악성코드 샘플 사이트 정리

https://github.com/rshipp/awesome-malware-analysis